해당 강좌의 강의계획서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제1주 |
- 수강기간
- 2025-05-14 ~ 2025-05-27
|
1차시 |
차시제목 |
데이터 통신 개요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데이터 통신 - 네트워크(Network) - 네트워크(Network) 유형 - 프로토콜 계층화 - TCP/IP 프로토콜 그룹 - OSI 모델 |
학습목표 |
- 데이터 통신의 구성요소, 데이터 표현, 데이터 전송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 네트워크 평가 기준과 물리적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유형 중 LAN, WAN, 인터넷, 인터넷 접속을 설명할 수 있다. - 프로토콜 계층화의 시나리오, 프로토콜 계층화의 원칙, 논리적 연결을 명할 수 있다. -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계층적 구조, 각 계층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 OSI 모델과 현재 사용 중인 TCP/IP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물리층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신호 - 전송 장애 |
학습목표 |
- 신호의 두 가지,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를 설명할 수 있다. - 전송 장애의 유형인 감쇄와 증폭, 일그러짐을 설명할 수 있다. |
제2주 |
- 수강기간
- 2025-05-21 ~ 2025-06-03
|
1차시 |
차시제목 |
물리층 2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데이터 전송률의 한계 - 디지털 전송(Digital Transmission) - 아날로그 전송 - 다중화 (1) |
학습목표 |
- 데이터 전송률의 한계와 네트워크의 성능을 설명할 수 있다. - 디지털 전송의 두 가지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을 설명할 수 있다. - 아날로그 전송의 두 가지,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 아날로그-대-아날로그 변환을 설명할 수 있다. - 다중화 중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물리층 3-TDM과 전송 매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다중화 (2) - 전송 매체 |
학습목표 |
- 파형 분할 다중화(WDM)과 시분할 다중화(TDM)를 설명할 수 있다. - 전송매체(유도 매체, 비유도 매체)를 설명할 수 있다. |
제3주 |
- 수강기간
- 2025-05-28 ~ 2025-06-10
|
1차시 |
차시제목 |
데이터 링크 개요 |
|
학습내용 |
- 데이터 링크 개요 - 데이터 링크 제어(DLC) |
학습목표 |
- 데이터 링크의 개요, 노드와 링크, 두 개의 부 계층을 설명할 수 있다. - 데이터 링크 제어의 프레임 짜기, 오류 제어, 중복, 부호화, 오류 검출, 두 가지 DLC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매체 접근 프로토콜(MAC)과 링크계층 주소 지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임의 접근(Random-access) - 제어 접근(Controlled Access) - 링크 계층 주소(Link-Layer Address) 지정 |
학습목표 |
- 점-대-점 프로토콜(PPP), 매체 접근 프로토콜(Multiple-Access Protocols), 임의 접근(Random Access), 임의 접근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제어 접근 방식인 예약, 폴링, 토큰 전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링크 계층 주소 지정의 세 가지 유형과 주소 변환 프로토콜(ARP)을 설명할 수 있다. |
제4주 |
- 수강기간
- 2025-06-04 ~ 2025-06-17
|
1차시 |
차시제목 |
근거리 통신망(LA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이더넷(Ethernet) - WIFI, IEEE 802.11 프로젝트 - 블루투스(Bluetooth) |
학습목표 |
- 표준 이더넷, 고속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10 기가비트 이더넷을 설명할 수 있다. - WIFI, IEEE 802.11 프로젝트의 구조, MAC 부계층, 주소 체계, 물리층을 설명할 수 있다. - 블루투스의 구조 및 계층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광역통신망(WA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전화망 - LATA(Local Access Transport Area) - 케이블망(Cable Network) - 셀 방식 이동전화(Cellular Telephony) - 5세대(5G) 및 4차 산업 혁명 |
학습목표 |
- 전화망(POTS)의 주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LATA, 상호접속점(POP), 신호방식, 전화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전화선 모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을 설명할 수 있다. - 전통적인 케이블망과 하이브리드 광-동축(HFC),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 TV망을 설명할 수 있다. - 셀방식 이동전화의 동작, 1세대(1G), 2세대(2G), 3세대(3G), 4세대(4G), 5세대(5G)의 내용을 기술할 수 있다. |
제5주 |
- 수강기간
- 2025-06-11 ~ 2025-06-24
|
1차시 |
차시제목 |
위성망, 연결 장치와 가상 LA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위성망(Satellite Network) - 연결 장치와 가상 LAN |
학습목표 |
- 위성망의 동작, GEO 위성, MEO 위성, LEO 위성을 설명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연결장치의 허브, 링크 계층 교환기, 라우터를 설명할 수 있다. - 가상 LAN의 소속원(membership), 구성, 교환기간 통신, 장점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데이터 전송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Network Layer: Data Transmission) - 패킷 교환(Packeting Switching) - 네트워크층의 성능(Network Layer Performance) - IPv4 주소 |
학습목표 |
- 네트워크층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패킷화, 라우팅, 오류제어, 흐름제어, 혼잡제어, 서비스 품질 및 보안을 설명할 수 있다. - 데이터그램 방식(비연결형 서비스)과 가상 회선 방식(연결형 서비스)을 포함한 패킷 교환을 설명할 수 있다. - 지연, 처리량, 패킷 손실을 포함한 네트워크층 성능을 설명할 수 있다. - IPv4 주소 지정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제6주 |
- 수강기간
- 2025-06-18 ~ 2025-07-01
|
1차시 |
차시제목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IPv4의 주 프로토콜과 3개의 보조 프로토콜 - ICMPv4 |
학습목표 |
- IPv4의 주 프로토콜과 3개의 보조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IPv4의 옵션들을 설명할 수 있다. - ICMPv4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이동 IP 및 IPv6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이동 IP - IP 패킷의 포워딩 - IPv6 주소 지정 - IPv6 프로토콜 |
학습목표 |
- 이동 IP 및 IP 패킷의 포워딩을 설명할 수 있다. - IPv6의 표현법, 주소 유형, 주소 공감 할당, 자동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 패킷형식, 옵션을 포함한 차세대 IPv6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제7주 |
- 수강기간
- 2025-06-25 ~ 2025-07-08
|
1차시 |
차시제목 |
IPv6로 전환 및 패킷의 라우팅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ICMPv6 - IPv4에서 IPv6로 전환 - 패킷의 라우팅 - 최소 비용 라우팅 - 라우팅 알고리즘 |
학습목표 |
- IPv6의 ICMPv6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IPv4에서 IPv6로 전환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네트워크층의 패킷 라우팅의 개념과 최소 비용 라우팅을 설명할 수 있다.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공통의 라우팅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다. - 거리-벡터 라우팅, 벨만-포드 방정식, 링크-상태 라우팅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멀티 캐스트 라우팅 및 IGMP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유니캐스트 라우팅(Unicast Routing) 프로토콜 - 멀티캐스트 라우팅(Multicasting Routing) - 인터넷 그룹관리 프로토콜(IGMP) |
학습목표 |
-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IP), 개방 최단 경로 우선(OSPF),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BGP4)를 설명할 수 있다. - 유니캐스트 라우팅과 멀티캐스트 라우팅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거리-벡터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멀티캐스트 개방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독립 멀티캐스트를 설명할 수 있다. - IGMP의 메시지, 멤버십 정보의 전파 및 캡슐화를 설명할 수 있다. |
제8주 |
- 수강기간
- 2025-07-06 ~ 2025-07-09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학습내용 |
중간고사 |
학습목표 |
중간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수강기간
- 2025-07-09 ~ 2025-07-22
|
1차시 |
차시제목 |
전송층 1 |
|
학습내용 |
- 전송층 서비스 - 전송층 프로토콜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서비스, TCP 특징, 세그먼트, TCP 연결) |
학습목표 |
- 전송층 서비스(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주소 지정: 포트 번호, 캡슐화와 역 캡슐화, 다중화와 역다중화, 흐름제어, 오류제어, 흐름과 오류 제어의 결합, 혼잡 제어, 비연결형과 연결형 프로토콜)를 설명할 수 있다. - 전송층 프로토콜(서비스들, 포트 번호)을 설명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을 설명할 수 있다. -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서비스, TCP 특징, 세그먼트, TCP 연결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전송층 2 및 응용층 소개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전송층 프로토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 응용층 소개 |
학습목표 |
- 전송제어 프로토콜의 TCP의 창, 흐름제어, 오류제어, TCP 혼잡제어, TCP 타이머를 설명할 수 있다. - 주소변환 프로토콜(ARP), 및 역 주소변환 프로토콜(RARP)을 설명할 수 있다. - 스트림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의 서비스, 특징, 패킷 형식, SCTP 결합, 흐름/오류 제어를 설명할 수 있다. - TCP/IP의 응용층 소개와 인터넷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응용층 프로토콜의 표준과 비표준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0주 |
- 수강기간
- 2025-07-16 ~ 2025-07-29
|
1차시 |
차시제목 |
클라이언트-서버 및 표준 응용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클라이언트-서버 패러다임: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전송층 서비스 사용 - WWW(World Wide Web)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FTP(File Transfer Protocol) - e-mail: 구조, 사용자 에이전트(UA), SMTP, POP/IMAP |
학습목표 |
- 클라이언트-서버 패러다임의 개념과 이 패러다임이 인터넷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표준 응용인 WWW(world wide web),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e-mail의 내용 중 구조, UA, SMTP, POP/ IMPA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email의 MIME, TELNET, 대등-대-대등 패러다임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email의 MIME - TELNET - SSH(Secure Shell) - DNS(Domain Name System) - 대등-대-대등 패러다임의 P2P 네트워크 개념 |
학습목표 |
- email의 MIME를 설명할 수 있다. - 표준 응용의 TELNET, 보안쉘(SSH), DNS를 설명할 수 있다. - 대등-대-대등 패러다임의 P2P 네트워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1주 |
- 수강기간
- 2025-07-23 ~ 2025-08-05
|
1차시 |
차시제목 |
대등-대-대등 패러다임 2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자원 공유를 위한 P2P 네트워크: 집중적 네트워크, 분권적 네트워크 - 분산 헤시 테이블(DHT) - 코드(Chord) - 패스트리(Pastry) - 패스트리 응용: 분산파일 시스템인 PAST 와 분산 출판/구독 시스템인 SCRIBE |
학습목표 |
- 집중적 네트워크(Centralized Networks)와 분권적 네트워크(Decentralized Networks)를 설명할 수 있다. - 분산 해시 테이블(DHT)과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코드의 식별자 공간, 핑거 테이블, 인터페이스를 설명할 수 있다. - 패스트리의 식별자 공간, 라우팅, 탈퇴 또는 실패, 응용(PAST, SCRIBE)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대등-대-대등 패러다임 3 및 멀티미디어 소개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카뎀리아 - 비트토런트 - 소켓 자료 구조의 5개 필드 - 헤더파일(Header File) - UDP를 활용한 반복통신 - TCP를 이용한 통신 - 멀티미디어 압축: 무손실 압축(반복 길이 부호화, 사전 부호화, 허프만 부호화, 산술 부호화) - 멀티미디어 압축: 손실 압축(예측 부호화(델타 변조, 적응형 델타 변조), 변환 부호화) |
학습목표 |
- 대등-대-대등 패러다임의 카뎀리아, 비트토런트를 설명할 수 있다. - 소켓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의 소켓 자료 구조의 5개 필드(계열, 유형, 프로토콜, 로컬 소켓 주소(local socket address), 원격 소켓 주소(remote socket address)), 헤더 파일, UDP를 활용한 반복 통신 및 TCP를 이용한 통신을 설명할 수 있다. - 멀티미디어 압축: 무손실 압축 및 손실 압축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2주 |
- 수강기간
- 2025-07-30 ~ 2025-08-12
|
1차시 |
차시제목 |
멀티미디어 데이터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멀티미디어 데이터: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비디오(video) - 인터넷상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저장형 AV, 스트리밍 생방송 오디오/비디오, 실시간 대화형 AV, - 실시간 대화형 AV 프로토콜: RTP, RTCP, SIP, H. 323 - VoIP(인터넷 전화)에 응용: SkypeIn, SkyOut |
학습목표 |
- 멀티미디어 데이터(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비디오(video))를 설명할 수 있다. - 인터넷상의 멀티미디어(스트리밍 저장형 AV, 스트리밍 생방송 오디오/비디오, 실시간 대화형 AV)를 설명할 수 있다. - 실시간 대화형 AV 프로토콜(전송층 프로토콜 RTP와 RTCP) 및 신호방식인 SIP 및 H.323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Skype(Sky preer-to-peer) P2P VOIP 응용 프로그램, SkypeIn, SkyOut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네트워크 관리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네트워크 관리 영역을 학습하고 TCP/IP 그룹의 응용층에서 이 영역들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 ISO에서 네트워크 관리를 구성관리, 장애 관리, 성능 관리, 보안 관리, 과금 관리(Accounting Management) 5 영역으로 정의하며 이를 설명할 수 있다. -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의 관리자와 에이전트, 관리 구성 요소, 관리 정보 구조(SMI, Structure of Management Information), 관리 정보 베이스(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설명할 수 있다. |
학습목표 |
- 네트워크 관리 도입: 구성 관리 - 장애 관리 - 성능관리 - 보안 관리 - 과금 관리 - SNMP, MIB |
제13주 |
- 수강기간
- 2025-08-06 ~ 2025-08-19
|
1차시 |
차시제목 |
네트워크 관리 2 및 암호화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SNMP - ASN.1: 언어 기본, 데이터 유형, 부호화 - 암호학 서론: 보안 목표, 공격, 서비스와 기술 - 대칭-키 암호(비밀-키 암호): 치환 암호, 스트림 암호와 블록 암호, 문자 중심 암호, 비트-중심 암호, 현대 스트림 암호 |
학습목표 |
- 네트워크의 SNMP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 ASN.1을 설명할 수 있다. - 암호학을 설명할 수 있다. - 대칭-키 암호(비밀-키 암호): 치환 암호, 스트림 암호와 블록 암호, 문자 중심 암호, 비트-중심 암호, 현대 스트림 암호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기밀성과 보안의 다른 측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비대칭-키 암호 - 보안의 다른 측면: 메시지 무결성, 메시지 인증, 디지털 서명, 개체 인증, 키 관리 |
학습목표 |
- 비대칭-키 암호(비밀은 공유되지 않음; 공개키 알고리즘)를 설명할 수 있다. - 공개키 알고리즘의 한 예로 RSA 암호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 보안의 다른 측면(메시지 무결성, 메시지 인증, 디지털 서명, 개체 인증, 키 관리)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4주 |
- 수강기간
- 2025-08-13 ~ 2025-08-26
|
1차시 |
차시제목 |
네트워크 보안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보안의 다른 측면 중 개체 인증 - 키 관리 - 네트워크층 보안: 두 가지 모드(전송모드, 터널모드), 두 가지 보안 프로토콜(AH, ESP), IPSec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 보안 연관(SA, Security Association)이라는 논리적 관계 - 인터넷 키 교환(IKE, Internet Key Exchange) -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전송층 보안: SSL 및 TLS |
학습목표 |
- 네트워크층 보안(IPSec)의 두 가지 모드인 전송 모드와 터널 모드를 설명할 수 있다. - IPSec의 두 가지 보안 프로토콜, 인증 헤더(AH, Authentication)와 캡슐화 보안 페이로드(ESP, Encapsulating Security)를 설명할 수 있다. - 전송층 보안의 소켓층 보안(SSL, Security Socket Layer) 및 전송층 보안(TLS, Transport Layer Security)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전송층 보안 및 응용층 보안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해시 알고리즘 - 전송층 보안: 핸드세이크 프로토콜, ChangeCiperSpec 프로토콜, 경고 프로토콜, 레코드 프로토콜 - 응용층 보안: 전자우편 보안, PGP(Pretty Good Privacy), S/MIME - 방화벽: 패킷 필터 방화벽, 프록시 방화벽 |
학습목표 |
- 전송층 보안 중 4개의 프로토콜(핸드세이크 프로토콜, ChangeCiperSpec 프로토콜, 경고 프로토콜, 레코드 프로토콜)을 설명할 수 있다. - 응용층 보안(전자우편 보안, PGP, S/MIME)을 설명할 수 있다. - 방화벽은 조직 내부의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나머지 네트워크 사이에 설치되는데 패킷 필터 방화벽, 프록시 방화벽 두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제15주 |
- 수강기간
- 2025-08-17 ~ 2025-08-20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학습내용 |
기말고사 |
학습목표 |
기말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