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학사일정 |
- 중간고사
- 2025년 7월 6일~2025년 7월 9일
- 기말고사
- 2025년 8월 17일~2025년 8월 20일
- 과제
- 2025년 7월 10일~2025년 8월 5일
- 토론
- 2025년 5월 28일~2025년 6월 10일
- 쪽지(OX퀴즈)
- 2025년 6월 11일~2025년 6월 24일
- 중간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기말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최종성적공개
- 2025년 8월 30일~2025년 8월 31일
|
과목개요 |
장애인복지의 제반 요소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해 전문인으로서의 역량 및 능력 제고에 기본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장애의 개념과 범주, 현황, 장애유형별 특성, 장애인복지의 역사와 변천, 장애관련이론과 모델 등에 대한 이해를 선행한다. 이후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정책, 법, 서비스, 행정, 시설 등에 대해 학습하고, 개인적, 집단적, 지역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애인복지 실천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재활에서 자립으로의 장애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틀 안에서 각종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에 대해 분석하여 한국의 장애인복지의 실천적 과제와 전망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다양한 차원의 장애인복지 실천방법 및 실천기술을 습득하여 이후의 장애인복지 분야의 전문가로서 실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수업목표 |
● 장애의 개념 및 개념적 모델과 장애의 범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장애인복지의 개념과 이론 및 관점, 역사적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장애의 유형별 특성과 장애판정 및 등록, 생활실태를 설명할 수 있다.
●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발달과업과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이해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 개인, 집단, 지역사회, 국가적 차원의 장애인복지의 실천방법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
● 장애인복지 관련 법, 제도, 시설, 서비스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실천에서 활용할 수 있다.
● 장애인복지의 핵심적 이슈와 실천적 과제 및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관련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2016년1월6일 제정,2016년1월1일 시행)에 따라 성적 평가가 상대평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원점수에서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다시 환산되며, A(20%),B(40%),C 이하(4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을 부여합니다.
학습자님들의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순위별로 등급에 배당되게 되며 환산점수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총점수 60점미만은 과락이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