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강좌의 강의계획서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제1주 |
- 수강기간
- 2025-05-14 ~ 2025-05-27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과 내용 -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의 기초지식과 실천지식의 수준을 바탕으로 실천기술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 사회복지사 자신에 대한 지식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실천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사회복지사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이해의 방법을 실천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제2주 |
- 수강기간
- 2025-05-21 ~ 2025-06-03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 실무역량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로서의 실무역량을 갖추어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실천분야별 현장과 실천기술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아동복지분야와 노인복지분야 - 장애인복지분야와 정신장애인 보건/복지시설 - 가족 및 여성복지분야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실천분야인 아동복지분야와 노인복지분야의 종류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분야인 장애인복지분야와 정신장애인 보건/복지시설의 종류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분야인 가족 및 여성복지분야의 종류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제3주 |
- 수강기간
- 2025-05-28 ~ 2025-06-10
|
1차시 |
차시제목 |
심리사회모델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이론적 배경 - 심리사회적 개입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개입방법을 개입에 적용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과업중심모델과 위기개입모델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과업중심모델 - 위기개입모델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과업중심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주요 개입방법을 개입에 적용할 수 있다. - 위기개입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주요 개입방법을 개입에 적용할 수 있다. |
제4주 |
- 수강기간
- 2025-06-04 ~ 2025-06-17
|
1차시 |
차시제목 |
인지행동모델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이론적 배경 - 인지행동모델의 개입원칙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인지행동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 인지행동모델의 개입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인지행동모델 2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엘리스(Ellis)의 합리정서행동치료 - 벡(Beck)의 인지치료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합리정서행동치료의 치료목표와 주요개념, 개입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인지치료의 치료목표와 주요개념, 인지적 왜곡, 개입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제5주 |
- 수강기간
- 2025-06-11 ~ 2025-06-24
|
1차시 |
차시제목 |
동기강화모델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이론적 배경 - 동기강화모델의 개입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동기강화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 동기강화모델의 주요 개입방법을 실천에 적용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해결중심모델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이론적 배경 - 해결중심모델의 개입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해결중심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 해결중심모델의 주요 개입방법을 실천에 적용할 수 있다. |
제6주 |
- 수강기간
- 2025-06-18 ~ 2025-07-01
|
1차시 |
차시제목 |
전문적 원조관계의 개념 및 특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전문적 원조관계의 개념 - 전문적 원조관계의 특징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전문적 원조관계가 갖는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맺는데 필요한 요소와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전문적 원조관계 형성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전문적 원조관계 형성의 원칙 - 전문적 원조관계 형성의 장애요인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비어스텍(Biestek)의 전문적 원조관계 형성 원칙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전문적 원조관계 형성을 하는데 있어 장애가 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
제7주 |
- 수강기간
- 2025-06-25 ~ 2025-07-08
|
1차시 |
차시제목 |
면담기술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면담을 위한 사전준비기술 - 경청과 질문기술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면담에 앞서 사회복지사가 준비해야 할 면담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다. - 면담에서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적절한 질문을 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면담기술 2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면담기술 (1) - 면담기술 (2)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면담에서 이루어지는 공통적인 상담기술을 실천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 개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면담기술을 실천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
제8주 |
- 수강기간
- 2025-07-06 ~ 2025-07-09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학습내용 |
중간고사 |
학습목표 |
중간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수강기간
- 2025-07-09 ~ 2025-07-22
|
1차시 |
차시제목 |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입과정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개입목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입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복합적 욕구에 대한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방법 - 비자발적 클라이언트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복합적 욕구를 가진 개인을 대상으로 집중적이고 통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에 대한 초기 실천방법과 감정을 다루는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0주 |
- 수강기간
- 2025-07-16 ~ 2025-07-29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의 이해와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현대 가족의 특징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으로 현대 가족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본 이론과 시각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가족사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가족의 욕구 사정 - 가계도와 생태도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생태학적 사정, 세대 간 사정, 가족 내부 사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가족의 욕구를 사정할 수 있다. - 가족사정의 도구인 가계도와 생태도를 활용할 수 있다. |
제11주 |
- 수강기간
- 2025-07-23 ~ 2025-08-05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의 변화를 위한 개입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환경체계의 변화를 위한 개입 - 보웬모델, 전략적 모델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환경체계의 변화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실천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개입방법으로 보웬모델과 전략적 모델의 실천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가족의 변화를 위한 개입 2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구조적 모델, 경험적 모델 - 정신역동모델, 인지행동모델, 해결중심모델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개입방법으로 구조적 모델과 경험적 모델의 실천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개입방법으로 정신역동모델, 인지행동모델, 해결중심모델의 실천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제12주 |
- 수강기간
- 2025-07-30 ~ 2025-08-12
|
1차시 |
차시제목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집단의 장점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과 집단의 유형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집단이 갖는 장점을 설명할 수 있다. -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과 목적에 따른 집단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집단역동과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 요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집단역동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 요건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집단역동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 요건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3주 |
- 수강기간
- 2025-08-06 ~ 2025-08-19
|
1차시 |
차시제목 |
집단의 계획단계와 초기단계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집단의 계획단계 - 집단의 초기단계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집단의 계획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집단의 초기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구성원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집단의 사정단계, 중간단계, 종결단계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집단의 사정단계 - 집단의 중간단계 - 집단의 종결단계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집단의 사정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바탕으로 사정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 집단의 중간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구성원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집단의 종결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구성원의 정서를 설명할 수 있다. |
제14주 |
- 수강기간
- 2025-08-13 ~ 2025-08-26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실천의 평가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사회복지실천 평가에 대한 이해 - 단일사례설계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실천에서 평가가 갖는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평가방법으로서 단일사례설계의 구조를 바탕으로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학습내용] - 사회복지실천에서 기록의 기능 - 기록의 구조와 유형 |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사회복지실천에서 기록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기록의 구조와 유형을 바탕으로 각 기록이 갖는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5주 |
- 수강기간
- 2025-08-17 ~ 2025-08-20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학습내용 |
기말고사 |
학습목표 |
기말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