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학사일정 |
- 중간고사
- 2025년 7월 6일~2025년 7월 9일
- 기말고사
- 2025년 8월 17일~2025년 8월 20일
- 과제
- 2025년 7월 10일~2025년 8월 5일
- 토론
- 2025년 5월 28일~2025년 6월 10일
- 쪽지(OX퀴즈)
- 2025년 6월 11일~2025년 6월 24일
- 중간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기말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최종성적공개
- 2025년 8월 30일~2025년 8월 31일
|
과목개요 |
사회에서 타인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인간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학습하고, 인간관계의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해 행복하고 성숙한 인간관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조별집단 활동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나아가 인간관계의 개념과 본질을 이해하고, 인간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이론 및 관련 기술을 습득하며, 의사소통과 심리분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개인 및 집단의 인간관계기술을 이해한다. 삶의 여정에 맞추어 어린 시절, 대학생으로서의 자신, 우정, 사랑, 결혼, 직장, 노년,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인간관계에 대해 정리도 해본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방식과 기법을 습득하고, 인간관계를 맺을 때 갖춰야 할 자세 및 태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대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발달 관련 제 이론을 습득해 건전하고 효과적으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수업목표 |
사회적 존재로서 건강한 생존을 위하여 인간관계에 대한 지식과 사회적 지지는 필수이며, 조직 장면에서 생산성과 만족을 동시에 추구하려면 더욱 그러하다. 사회에서 타인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인간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학습하고, 인간관계의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해 행복하고 성숙한 인간관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는다.
인간관계를 크게 개인차원과대인차원(집단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인차원에서는 개인의 감성, 지능, 지각(인식), 성격, 자아개념(자아상), 태도 및 동기의 측면을 다루고, 대인차원또는 집단역학적차원에서는 집단 속의 갈등, 매력(친교관계), 리더십,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권력, 직무 스트레스 및 기업문화를 다루게 되는데, 본 과목의 학습을 통하여 이에 관한 전반적 지식의 습득할 수 있다.
끝으로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를 위한 몇 가지 실천방안을 소개하여,개인과 조직, 넓게는 인간사회에 유익한 성과가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교과목의 가장 큰 취지는 개인 수준보다 조직(집단) 수준에서 어떻게 인간요소가작동하는지를 이해하고, 조직의 성과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충실히 본 과목을 이수한 수강생들은 실제로 상당한 수준의 인간관계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동시에 세상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2016년1월6일 제정,2016년1월1일 시행)에 따라 성적 평가가 상대평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원점수에서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다시 환산되며, A(20%),B(40%),C 이하(4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을 부여합니다.
학습자님들의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순위별로 등급에 배당되게 되며 환산점수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총점수 60점미만은 과락이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