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강좌의 강의계획서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제1주 |
- 수강기간
- 2025-05-14 ~ 2025-05-27
|
1차시 |
차시제목 |
영어학(언어학)과 언어학적 지식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영어학(언어학)에 대한 정의 - 영어학(언어학)의 하위분야 - 여러 분야에서의 언어학적 지식 |
학습목표 |
- 영어학(언어학)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영어학(언어학)을 하위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 언어학적 지식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영어학(언어학)의 기본 개념들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Competence vs. Performance - Descriptive vs. Prescriptive grammar - Design features |
학습목표 |
- 언어능력과 언어수행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문법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 인간의 언어와 동물들의 의사소통체계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제2주 |
- 수강기간
- 2025-05-21 ~ 2025-06-03
|
1차시 |
차시제목 |
음성학의 정의와 하위분야들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음성학에 대한 정의 - 음성학의 하위분야 - 조음기관들 - 기류기작 |
학습목표 |
- 음성학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음성학을 하위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 조음기관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기류기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영어자음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영어자음의 분류 - 성대의 상태 - 조음장소 - 조음방법 |
학습목표 |
- 영어자음의 조음을 설명할 수 있다. - 영어자음을 분류할 수 있다. - 영어자음의 분류기준인 성대의 상태, 조음장소, 조음방법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제3주 |
- 수강기간
- 2025-05-28 ~ 2025-06-10
|
1차시 |
차시제목 |
영어모음과 이중모음 |
|
학습내용 |
- 영어모음의 분류 - Tongue height(혀의 높이) - Frontness/backness of the tongue(혀의 부위) - Tenseness(긴장도) - Degree of lip rounding(원순성) - Diphthongs(이중모음) - Exercises |
학습목표 |
- 영어모음의 조음을 설명할 수 있다. - 영어모음을 분류할 수 있다. - 영어모음의 분류기준인 Tongue height, Frontness/backness of the tongue, Tenseness, Degree of lip rounding, Diphtongs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Natural class, Narrow transcriptio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Natural class(자연집단) - Major phonetic features(주요 음성자질) - Narrow transcription vs, Broad transcription - Phonetic details(using diacritics) -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IPA, 국제음성부호) |
학습목표 |
- Natural class를 설명할 수 있다. - Natural class에 사용되는 주요 음성자질(Major phonetic features)을 기술할 수 있다. - Narrow transcription과 broad transcription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Narrow transcription의 예들을 diacritics을 이용하여 열거할 수 있다. - IPA(국제음성부호)를 파악할 수 있다. |
제4주 |
- 수강기간
- 2025-06-04 ~ 2025-06-17
|
1차시 |
차시제목 |
음운론의 정의와 음소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음운론의 정의 - Sound Inventory - English vs. Korean - Phonemic Analysis Flow Chart - Korean data |
학습목표 |
- 음운론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음소와 이음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영어의 음소를 한국어와 비교해 볼 수 있다. - 주어진 데이터에서 Minimal pair를 이용하여 음소를 찾아낼 수 있다. - 주어진 데이터에서 Complementary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음소를 찾아낼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Distinctive feature, suprasegmental feature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Distinctive feature - Natural classes of English sounds - Redundant feature specifications - Suprasegmental feature |
학습목표 |
- Distinctive feature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Natural classes of English sounds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Redundant feature specifications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Suprasegmental feature의 예를 들 수 있다. |
제5주 |
- 수강기간
- 2025-06-11 ~ 2025-06-24
|
1차시 |
차시제목 |
주요 영어음운규칙들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Phonological processes - 음운규칙이 일어나는 이유 - Major English phonological rules - Two kinds of phonological rules |
학습목표 |
- Phonological processes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음운규칙이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주요 영어음운규칙(assimilation, dissimilation, insertion, deletion, metathesis, neutralization, coalescence)들을 나열할 수 있다. - Obligatory phonological rule과 optional phonological rule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Syllable(음절)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음절에 대한 정의 - The sonority theory - 영어음절의 구조 - Syllabification |
학습목표 |
- 음절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The sonority theory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영어음절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분절을 설명할 수 있다. |
제6주 |
- 수강기간
- 2025-06-18 ~ 2025-07-01
|
1차시 |
차시제목 |
형태론의 정의와 형태소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What is morphology? - Classes of words - Morphemes - Free vs. Bound morphemes - Bound morphemes: Affixes(접사) - Derivational(파생) vs. Inflectional(굴절) morphemes - English inflectional morphemes - Classification of morphemes |
학습목표 |
- 형태론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내용어와 기능어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형태소와 이형태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접두사와 접미사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파생과 굴절형태소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형태소를 분류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형태소와 단어형성규칙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Free vs. bound root - Stem vs. base - Classification of morphemes(revised) - Rules of word formation - (Hierarchical)Tree structure - Structures of ambiguous words |
학습목표 |
- 파생과 굴절어근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어간과 어기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형태소를 분류할 수 있다. - 단어형성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 - 단어형성의 계층적인 수형도를 설명할 수 있다. - 중의적인 단어의 내부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
제7주 |
- 수강기간
- 2025-06-25 ~ 2025-07-08
|
1차시 |
차시제목 |
Word coinage 1(신조어 1)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Affixation(접사 첨가) - Compound vs. noncompound - Blend(혼성어), Portmanteau words - Back-formation(역성어) - Morphological misanalysis(형태소 오분석), folk etymology(민간 어원), metanalysis(이분석) |
학습목표 |
- Affixation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Compound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Compound와 noncompound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Blend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Back-formation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Morphological misanalysis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Word coinage 2(신조어 2)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Reduced words(약어) - Eponym - Borrowing(차용어) - Root-creation(coinage)(어근창조) - Conversion(functional shift)(전환) - Onomatopoeia(의성어) - Suppletion(보충법) |
학습목표 |
- Clipping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Acronym과 alphabetic abbreviation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Eponym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Borrowing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Root-creation (coinage)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Conversion (functional shift)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Onomatopoeia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Suppletion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제8주 |
- 수강기간
- 2025-07-06 ~ 2025-07-09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학습내용 |
중간고사 |
학습목표 |
중간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수강기간
- 2025-07-09 ~ 2025-07-22
|
1차시 |
차시제목 |
통사론의 정의, 문법성, 어휘범주 |
|
학습내용 |
- Syntax(통사론)의 정의 - Grammaticality(문법성) - Lexicon(어휘부) - Lexical item(어휘항목), lexical category(어휘범주) - N(명사), V(동사), A(형용사) - 다른 범주들 - Subcategory(하위범주) |
학습목표 |
- 통사론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문법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어휘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어휘항목을 어휘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 N(명사), V(동사), A(형용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다른 범주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하위범주(Subcategory)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Subcategorization, 선형성과 계층성, constituent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Subcategorization(하위범주화) - Linear order(선형성) - Constituent(구성소), hierarchy(계층성) - Tree diagram(수형도) |
학습목표 |
- Subcategorization을 설명할 수 있다. - 선형성과 계층성을 설명할 수 있다. - 문장 내에서 constituent를 파악할 수 있다. - Tree diagram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0주 |
- 수강기간
- 2025-07-16 ~ 2025-07-29
|
1차시 |
차시제목 |
Constituency tests, Structural ambiguity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Constituency tests(replacement, movement, stand alone) - Structural ambiguity(구조적 중의성) |
학습목표 |
- Constituency tests를 적용할 수 있다. - Tree diagram으로 Structural ambiguity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Phrasal categories & PS rules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Phrasal category(구범주) - PS rule(구구조규칙) - Phrasal types - Recursive PS rules and infinity |
학습목표 |
- Phrasal category를 설명할 수 있다. - PS rule을 적용할 수 있다. - Phrasal types를 설명할 수 있다. - Recursive PS rules를 사용하여 infinity를 설명할 수 있다. |
제11주 |
- 수강기간
- 2025-07-23 ~ 2025-08-05
|
1차시 |
차시제목 |
Head & complement, Transformatio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Head(핵어) & complement(보충어) - Transformation(변형), deep structure(심층구조) & surface structure(표층구조) |
학습목표 |
- Head와 complement를 구분할 수 있다. - Deep structure와 surface structure를 연결해 주는 transformation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의미론의 정의, 의미의 본질, Lexical semantics(Word meanings)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의미론의 정의 - 하위분야 - 의미의 본질(sense vs. reference) - Lexical semantics(Word meanings): homonym, synonym, antonym, polysemy, hyponymy |
학습목표 |
- 의미론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의미론을 하위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 의미의 본질을 Sense와 reference로 분석할 수 있다. - 단어들의 여러 가지 의미관계(homonym, synonym, antonym, polysemy, hyponymy)를 설명할 수 있다. |
제12주 |
- 수강기간
- 2025-07-30 ~ 2025-08-12
|
1차시 |
차시제목 |
Sentence meaning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Sense properties of sentences(analytic sentence, contradiction, synthetic sentence) - Semantic relations between sentences(proposition, entailment, paraphrase, contradiction, presupposition) |
학습목표 |
- 문장들의 여러 가지 의미관계(analytic sentence, contradiction, synthetic sentence, proposition, entailment, paraphrase, contradiction, presupposition)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Thematic roles, Semantic compositio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Thematic roles (agent, theme, experiencer, beneficiary, instrument, location, goal, source) -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 - Exceptions to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 |
학습목표 |
- 여러 가지 thematic role을 설명할 수 있다. -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를 설명할 수 있다. -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에 예외적인 사항들을 열거할 수 있다. |
제13주 |
- 수강기간
- 2025-08-06 ~ 2025-08-19
|
1차시 |
차시제목 |
화용론의 정의, Linguistic context vs. situational context, Speech act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화용론의 정의 - Linguistic context vs. situational context - Speech acts(direct speech act vs. indirect speech act |
학습목표 |
- 화용론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Linguistic context와 situational context를 구분할 수 있다. - Direct speech act와 indirect speech act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Performative verbs, Presupposition, Deixis, Maxims of conversation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Performative verbs - Presupposition - Deixis - Maxims of conversation |
학습목표 |
- Performative verb를 설명할 수 있다. - 문장의 presupposition을 찾아낼 수 있다. - Deixis를 설명할 수 있다. - Maxims of conversation을 설명할 수 있다. - Maxims of conversation을 이용하여 대화에서 implicature를 찾아낼 수 있다. |
제14주 |
- 수강기간
- 2025-08-13 ~ 2025-08-26
|
1차시 |
차시제목 |
the History of English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영어의 계보(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 - 영어의 시대 분류와 특징(고대영어, 중세영어, 현대영어) -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차이 |
학습목표 |
- 영어의 계보를 설명할 수 있다. - 영어의 시대 분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Sociolinguistics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사회언어학의 정의 - Dialect(방언) - Standard American English - African American English - Latino vs. Chicano English - Languages in contact(lingua franca, pidgin, creoles) - Languages in use(slang, jargon, euphemism) |
학습목표 |
- 사회언어학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방언을 설명할 수 있다. - Standard American English를 설명할 수 있다. - African American English의 역사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Latino English와 Chicano English를 설명할 수 있다. - 사람들의 접촉에 의해 생긴 언어들을 설명할 수 있다. - 언어 사용 시 생겨나는 또 다른 언어들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5주 |
- 수강기간
- 2025-08-17 ~ 2025-08-20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학습내용 |
기말고사 |
학습목표 |
기말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