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강좌의 강의계획서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제1주 |
- 수강기간
- 2025-05-14 ~ 2025-05-27
|
1차시 |
차시제목 |
운영체제의 개요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운영체제 소개와 정의 - 운영체제의 발전 |
학습목표 |
- 운영체제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운영체제의 역할, 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 운영체제의 발전과정을 기술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운영체제 구성의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운영체제의 구성 |
학습목표 |
-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구조(커널과 인터페이스, 시스템 호출과 디바이스 드라이버, 가상머신)를 설명할 수 있다. |
제2주 |
- 수강기간
- 2025-05-21 ~ 2025-06-03
|
1차시 |
차시제목 |
컴퓨터의 기본 구성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하드웨어의 구성 - 폰노이만의 컴퓨터 구조 - 컴퓨터에 사용되는 용어 정의 |
학습목표 |
-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폰노이만 구조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폰노이만 구조를 요리사 모형에 비유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컴퓨터에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의를 기술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CPU와 메모리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CPU의 구성과 동작 - 메모리 종류와 부팅 |
학습목표 |
- CPU의 구성 및 동작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메모리의 구성 및 동작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제3주 |
- 수강기간
- 2025-05-28 ~ 2025-06-10
|
1차시 |
차시제목 |
컴퓨터 성능 향상 기술 |
|
학습내용 |
- 버퍼 - 저장장치의 계층구조 - 인터럽트 - 직접 메모리 접근(DMA) - 메모리 맵 입출력(MMIO) - 사이클 훔치기 |
학습목표 |
- 버퍼와 인터럽트를 설명할 수 있다. - 저장장치의 계층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직접 메모리 접근(DMA)과 메모리 맵 입출력(MMIO)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사이클 훔치기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멀티프로세싱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멀티 코어 시스템 - CPU 멀티스레드 |
학습목표 |
- 멀티 프로세스 시스템과 멀티 코어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 CPU 멀티스레드와 CPU 관련 통용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
제4주 |
- 수강기간
- 2025-06-04 ~ 2025-06-17
|
1차시 |
차시제목 |
프로세스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프로세스의 개념 정의 - 프로그램에서 프로세스로의 전환 - 프로세스의 상태 |
학습목표 |
- 프로세스가 생성된 후 상태 변화를 알아보고 요리사 모형에 비유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프로세스 제어 블록의 구성과 문맥 교환 시 동작 과정을 이해한다. - 프로세스의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프로세스 제어 블록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프로세스의 제어블록과 문맥 교환 - 타임 슬라이스 |
학습목표 |
- 프로세스의 제어블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문맥 교환의 절차와 문맥 교환이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 문맥 교환과 타임 슬라이스의 크기를 설명할 수 있다. |
제5주 |
- 수강기간
- 2025-06-11 ~ 2025-06-24
|
1차시 |
차시제목 |
프로세스의 연산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프로세스의 구조 - 프로세스의 생성과 복사 |
학습목표 |
- 프로세스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프로세스의 생성과 복사를 설명할 수 있다. - 프로세스의 계층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스레드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스레드의 개념 - 멀티스레드의 구조 - 멀티스레드 모델 |
학습목표 |
- 스레드의 개념과 관련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멀티스레드의 구조와 장단점에 대한 설명할 수 있다. - 멀티스레드의 모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제6주 |
- 수강기간
- 2025-06-18 ~ 2025-07-01
|
1차시 |
차시제목 |
CPU 스케줄링의 개요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CPU 스케줄링 - CPU 스케줄링의 목적 - 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형 스케줄링 |
학습목표 |
- CPU 스케줄링의 개념과 수준을 설명할 수 있다. - CPU 스케줄링을 레스토랑 관리자의 스케줄링에 비유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스케줄링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 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형 스케줄링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CPU 스케줄링 시 고려사항과 다중 큐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프로세스 우선순위 - CPU 집중 프로세스와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 - 다중 큐 |
학습목표 |
-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설명할 수 있다. - CPU 집중 프로세스와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를 설명할 수 있다. - 준비 상태의 다중 큐와 대기 상태의 다중 큐를 설명할 수 있다. |
제7주 |
- 수강기간
- 2025-06-25 ~ 2025-07-08
|
1차시 |
차시제목 |
스케줄링 알고리즘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선택기준 - 스케줄링 (1) |
학습목표 |
-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종류와 선택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FCFS 스케줄링, SJF, 스케줄링, HRN 스케줄링,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SRT 스케줄링의 동작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인터럽트 처리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스케줄링 (2) - 인터럽트 처리 - 동기적 인터럽트와 비동기적 인터럽트 - 인터럽트 처리과정 |
학습목표 |
- 우선순위 스케줄링, 다단계 큐 스케줄링, 다단계 피드백 큐 스케줄링을 설명할 수 있다. - 인터럽트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동기적 인터럽트, 비동기적 인터럽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인터럽트 처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제8주 |
- 수강기간
- 2025-07-06 ~ 2025-07-09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학습내용 |
중간고사 |
학습목표 |
중간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수강기간
- 2025-07-09 ~ 2025-07-22
|
1차시 |
차시제목 |
프로세스 간 통신과 임계구역 이해 |
|
학습내용 |
- 프로세스 간 통신의 개념 - 프로세스 간 통신의 분류 -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류 - 공유자원과 임계구역 |
학습목표 |
- 프로세스 간 통신의 개념과 분류를 설명할 수 있다. -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류를 기술할 수 있다. - 공유자원과 임계구역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임계구역 해결 방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기본코드를 살펴보고, 임계구역 문제 해결 조건을 고려한 코드 설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피터슨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다. - 데커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다. |
학습목표 |
- 기본코드 소개 - 임계구역 문제 해결 조건을 고려한 코드 설계 - 피터슨 알고리즘 - 데커 알고리즘 |
제10주 |
- 수강기간
- 2025-07-16 ~ 2025-07-29
|
1차시 |
차시제목 |
교착상태 이해와 필요조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교착상태의 정의 - 자원 할당 그래프 - 교착상태 필요조건 |
학습목표 |
- 교착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 자원 할당 그래프를 설명할 수 있다. - 교착상태 필요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교착상태 해결 방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교착상태 해결 - 교착상태 예방 - 교착상태 회피 - 교착상태 검출과 회복 |
학습목표 |
- 교착상태 해결과 예방을 설명할 수 있다. - 교착상태 회피를 설명할 수 있다. - 교착상태 검출과 회복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1주 |
- 수강기간
- 2025-07-23 ~ 2025-08-05
|
1차시 |
차시제목 |
메모리 관리와 메모리 주소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메모리 이해 -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 - 소스 코드의 번역 - 논리주소와 물리주소의 차이 |
학습목표 |
- 메모리를 설명할 수 있다. -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소스 코드의 번역를 설명할 수 있다. - 논리주소와 물리주소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프로그램 환경의 메모리 할당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메모리 오버레이 - 스왑 - 메모리 분할 방식과 관리 |
학습목표 |
- 메모리 오버레이를 설명할 수 있다. - 스왑을 설명할 수 있다. - 메모리 분할 방식과 관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제12주 |
- 수강기간
- 2025-07-30 ~ 2025-08-12
|
1차시 |
차시제목 |
가상 메모리와 페이징 기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가상 메모리 시스템 - 매핑 테이블의 역할 - 페이징 기법의 구현 |
학습목표 |
- 가상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 매핑 테이블의 필요성과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페이징 기법의 구현을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세그먼테이션 기법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세그먼테이션 기법의 구현 - 세그먼테이션 기법의 주소 변환 |
학습목표 |
- 세그먼테이션 기법 구현을 설명할 수 있다. - 세그먼테이션 기법의 주소 변환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3주 |
- 수강기간
- 2025-08-06 ~ 2025-08-19
|
1차시 |
차시제목 |
입출력 시스템과 디스크 스케줄링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입출력 장치와 채널 - 입출력 버스의 구조 - 인터럽트 - 저장장치의 종류 |
학습목표 |
- 입출력 장치와 채널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입출력 버스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인터럽트와 저장장치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디스크 스케줄링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FCFS 디스크 스케줄링 - SSTF 디스크 스케줄링 - 블록 SSTF 디스크 스케줄링 - SCAN 디스크 스케줄링 |
학습목표 |
- FCFS 디스크 스케줄링을 설명할 수 있다. - SSTF와 블록 SSTF 디스크 스케줄링을 설명할 수 있다. - SCAN 디스크 스케줄링을 설명할 수 있다. |
제14주 |
- 수강기간
- 2025-08-13 ~ 2025-08-26
|
1차시 |
차시제목 |
파일시스템과 디렉터리 구조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파일과 파일 시스템 개요 - 저장장치 관리 기법 - 파일구조 - 디렉터리의 개념 - 경로 |
학습목표 |
- 파일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 저장장치 관리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파일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디렉터리의 개념과 경로를 설명할 수 있다. |
2차시 |
차시제목 |
디스크 할당의 이해 |
- 들어가기
- 학습하기
- 적용하기
- 정리하기
- <수업보조자료>
- - 학습자 교안
- - 강의 음성(MP3)
- <주요수업방법>
- 원격 강의
|
학습내용 |
- 할당 방식 - 빈 공간 관리 |
학습목표 |
- 할당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빈 공간 관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제15주 |
- 수강기간
- 2025-08-17 ~ 2025-08-20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학습내용 |
기말고사 |
학습목표 |
기말고사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